2025년 02월 천문 현상
<p><strong style="font-size:18px;">[1] 겨울철 별자리</strong></p><p>● 현상: 추운 겨울에는 여름에 비해 별이 더욱 또렷하게 보인다. 그 이유는 대기가 건조해 빛의 산란이 적어진 덕분도 있겠지만 실제로 우리나라에서 볼 수 있는 15개의 1등성 중 7개가
겨울철에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. 오리온자리의 '베텔게우스(Betelgeuse)'와 작은개자리의 '프로키온(Procyon)' 그리고 큰개자리의 '시리우스(Sirius)'는 커다란 삼각형을 이루는데 이
별들을 '겨울철의 대삼각형'이라 부른다. 또한 큰개자리의 시리우스, 작은개자리의 프로키온과 쌍둥이자리의 '폴룩스(Pollux)', 마차부자리의 '카펠라(Capella)', 황소자리의 '알데바란
(Aldebaran)', 오리온자리의 '리겔(Rigel)' 이렇게 여섯 개의 별들을 육각형 모양으로 이으면 아름다운 '겨울철의 다이아몬드'가 된다.</p><p>● 시기: 2025.02 </p><p><br><br></p><p><strong style="font-size:18px;">[2] </strong></p><p>● 현상: 달과 금성의 근접(2.4°)</p><p>● 시기: 2025.02.02 (일) 05:27</p><p><br><br></p><p><strong style="font-size:18px;">[3] </strong></p><p>● 현상: 달의 근지점(367,500 km)</p><p>● 시기: 2025.02.02 (일) 11:43</p><p><br><br></p><p><strong style="font-size:18px;">[4] </strong></p><p>● 현상: 목성 유(서-동)</p><p>● 시기: 2025.02.04 (화) 22:00</p><p><br><br></p><p><strong style="font-size:18px;">[5] </strong></p><p>● 현상: 화성 엄폐</p><p>● 시기: 2025.02.05 (수) 05:29</p><p><br><br></p><p><strong style="font-size:18px;">[6] </strong></p><p>● 현상: 수성의 외합</p><p>● 시기: 2025.02.09 (일) 21:00</p><p><br><br></p><p><strong style="font-size:18px;">[7] </strong></p><p>● 현상: 달과 화성의 근접(0.8°)</p><p>● 시기: 2025.02.10 (월) 04:36</p><p><br><br></p><p><strong style="font-size:18px;">[8] </strong></p><p>● 현상: 망</p><p>● 시기: 2025.02.12 (수) 22:53</p><p><br><br></p><p><strong style="font-size:18px;">[9] </strong></p><p>● 현상: 금성의 최대 빛나는 면적</p><p>● 시기: 2025.02.15 (토) 07:00</p><p><br><br></p><p><strong style="font-size:18px;">[10] </strong></p><p>● 현상: 달과 스피카의 근접(0.3°)</p><p>● 시기: 2025.02.17 (월) 21:01</p><p><br><br></p>
130000